[김태우]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에 거는 기대

지난 2월 1일에는 한국 해군에 큰 경사가 있었습니다. 기동함대사령부가 창설된 것입니다. 2010년에 창설된 7기동전단을 모체로 그리고 제주 해군기지를 모항으로 창설된 기동함대는 3개의 기동전대, 군수지원전대, 제주기지전대 등 5개의 예하 부대를 거느리게 되는데, 그 위용이 대단합니다.

기동함대에는 구축함 10척과 군수지원함 4척 등 모두 14척의 대형 함정을 운용하게 되는데, 구축함 중 가장 작은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만 해도 4,400톤급입니다. 2011년 1월 15일 아덴만에서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납치된 1만톤급 한국 화물선 삼호주얼리호를 급습해 해적들을 일망타진하고 선원 21명 전원을 구해낸 ‘아덴만 여명’ 작전을 펼친 것도 4,400톤급의 최영함이었습니다. 또한 기동함대의 구축함 10척 중 6척은 이지스 구축함인데, 아시다시피 이지스 구축함은 탐지거리가 1천km 다기능 위상배열 레이더인 스파이원(AN/SPY-1)을 탑재하고 실시간으로 수백 개의 표적을 탐지·추적하고 미사일이든 항공기든 요격할 수 있는 최첨단 군함입니다.

특히, 기동함대의 기함이 될 정조대왕함은 기존 7,600톤급의 세종대왕함보다 더 큰 8,200톤급이며 SM-6 요격미사일, 통합 소니 대잠수함 장비, 적의 탐지를 회피하는 스텔스 기능 등을 갖추어서 세종대왕함보다 더 강력한 탐지·추적·요격 능력을 발휘합니다. 게다가 2030년대 중반까지 대형 구축함 6척이 추가되면 도합 18척의 구축함을 거느리는 대함대가 되는데, 가히 한국판 무적함대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한국 해군에는 동해와 서해 그리고 남해를 지키는 1, 2, 3 세 개의 해역함대가 있으며, 이들 함대도 3,200톤급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을 위시하여 호위함, 초계함, 고속함, 고속정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와는 달리 기동함대는 한반도 주변 전 해역에서 기동작전을 수행할 뿐 아니라, 원해작전을 통해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고 연합 훈련을 통해 연합 방어를 점검하면서 군사 외교의 지평을 넓혀갈 것입니다. 한국이 수출입 물동량의 99.7%를 바다에 의존하는 나라라는 점을 생각하면 매우 든든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당연히, 기동함대 창설은 북한을 향해서도 강력한 메시지를 발하고 있습니다. 기동함대는 그 자체가 더욱 강력해진 선제·방어·응징 능력을 갖춘 해상 기반 한국형 3축 체계로서 강력한 전쟁 억제력을 발휘할 것입니다. 전쟁이 발발하면, 선제 전략 타격, 미사일 방어, 응징을 위한 핵심표적 정밀타격, 공세적 대잠수함 작전, 상륙 및 강습 작전, 합동작전, 동맹국과의 연합작전 등을 통해 승리를 이끄는 견인차가 될 것입니다.


관련기사

한국 해군, 북핵 대응 ‘기동함대사령부’ 창설

[김태우] 제9회 서해수호의 날


이렇듯 한국의 해군력은 소형 함정과 소형 잠수함이 대부분인 북한의 해군과는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북한은 원해 작전 능력을 포기한 상태에서 한국만을 겨냥한 근해 전투 위주의 해군을 운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이자 6위의 무역 강국인 한국은 북한만 쳐다보는 해군으로는 만족할 수 없는 처지입니다. 한 마디로, 한국이 글로벌 중추 국가로 우뚝 서기 위해 해군이 누비고 다녀야 할 바다는 넓고 갈 길은 멉니다. 인도 태평양 지역은 세계인구의 65%와 GDP의 62%를 차지하며 해양 물동량의 절반 이상을 커버하는데, 한국 해군은 이 바다를 누비면서 국익을 지키고 신장하는 첨병이 될 것입니다.

이렇듯 큰 목표들을 가진 한국 해군은 해군 강국을 넘어 해양 강국으로 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영해 수호를 넘어 물류, 해상 테러, 마약·무기 밀매, 불법조업, 해상 환경, 기후, 우주 통신 등 해양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들을 유기적으로 통합·관장하는 해상력의 중심이 되기 위해 매진할 것입니다. 군사기술 혁신을 위해 투자를 계속할 것이며, 핵 추진 잠수함,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드론, 무인 잠수함, 무인 수상함, 유무인 복합 자율 전투 시스템 등을 발전시키는 데에도 힘을 쏟을 것입니다.

오늘은 해군 기동함대 창설에 즈음하여 국민이 해군이 거는 기대와 해군의 각오에 대해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언젠가는 남북 해군이 친구가 되어 함께 저 넓은 태평양을 누비게 되기를 기원해 봅니다.

** 이 칼럼 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에디터 이현주